본문 시작

회인향교
주소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부수1길 31-11
문의
1611년(광해군3년)에 재건
공자를 주향으로 4성, 10철, 송조4현과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를 봉안하였습니다.
소개
회인향교는 조선 세종때 창건되었으나 선조때 임진왜란시 재화로 불타자 보은향교와 합하였다가 1611년(광해군3년)에 재건하였습니다. 그 뒤 1924, 1941, 1952, 1971 등 수차례 중ㆍ보수 하였습니다.
건물의 배치는 후묘전당으로 문묘에는 정면 5칸,측면 3칸의 맛배지붕의 대성전이 있는 공자를 주향으로 4성(四聖), 10철(十哲), 송조4현(宋朝四賢)과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였습니다.
그리고 강당인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8작지붕 2층 목조인데 본래는 누문형식으로 1층은 모두 개방된 것을 뒤에 벽을 쌓은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1979년부터 3년간 4,150만원을 들여 대성전 해체보수 내삼문 해체 보수와 명륜당 면딱기 및 지붕 번와를 하였고 조립식 담장을 막돌담으로 완전히 쇄신 보수 하였습니다.
향교는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 노비등을 지급 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이후 신학제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 가을에 석선제를 봉행하며 초하루, 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