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보은관광 웹사이트 입니다.

관광명소

본문 시작

정이품송공원
정이품송공원
주소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상판리 70-2 일원
문의 043-540-4442(속리산휴양사업소)

“아름다운 역사와 전설이 숨쉬는 현장”
훈민정음 창제의 숨은 공로자인 신미대사의 업적을 조명하고, 한글의 위대한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조성되었습니다.

소개

정이품송공원​

정이품송공원은 ‘만남의 문‘, ‘인연의 문’, ‘창제의 문’ 총 3개의 테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만남의 문은 정이품송을 축소한 조형물, 전망대, 세조 동상, 어가행차 조형물, 이색자전거와 포토존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인연의 문은 신미마당으로 신미대사와 세속에서 인연을 맺은 부 김훈, 모 정경부인 여흥이씨 등 4인과 스승, 수미대사 등 4인의 조형물이 세워져 있으며, 신미의 행적지를 표현한 지도마당과 궁궐 출입도가 있습니다.​
창제의 문은 정이품송공원으로 한글 창제 과정에 관여한 세종, 신미, 정의공주, 수양대군 등 7인과 그 이야기를 담은 담장과 벽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광각렌즈로 촬영한 전면 IMAGE
종합안내도 IMAGE
세종대왕 동상
세종대왕
  • 출생-사망 1397-1450
  • 재위 1418-1450 조선왕조 제4대 왕
  • 업적
    • 이상적인 유교정치 구현
    • 신미대사와 함께 훈민정음
을 창제하여 3년 간의 검토 
후 1446년 반포
신미대사 동상
신미대사
  • 출생-사망1403~1480
  • 업적
    • 1456년 도감사를 중수하여 
 약사여래불상 3구를 조성, 봉안
    • 1457년 국가의 요청으로 해인사
의 대장경을 인출할 때 이를 감독
    • 1461년 법화경, 반야심경 등 불경 언해
정의공주 동상
정의공주 [세종 둘째 공주]
  • 출생-사망1415~1477
  • 업적
    • 변음과 토착을 풀어냄. 훈민정음 창제 참여
    • 지장보살 본원경 간행
    • 1428년 안맹담과 가례를 치룸
효령대군 동상
효령대군 [태종 둘째 아들]
  • 출생-사망1396~1486
  • 업적
    • 1429년 관악사 삼창 ​
    • 1429년 약사여래상, 미륵존상, 삼층석탑 조성​
    • 월출산 무위사의 중창을 지유함​
    • 만덕산 백련사 중창의 시주가 됨​
    • 1458년 함흥 선향헌목의 서문을 지음​
수양대군 동상
수양대군 [세종 둘째 아들]
  • 출생-사망1417~1468
  • 업적
    • 1453년 계유정난을 일으킴

    • 1455년 왕위에 오름

    • 토지제도와 군사제도 개혁
    • 경국대전 편찬
 (세종의 명으로 수양대군이 
 석가모니의 일대기와 설법을 담아 편찬한 책)
세자(문종) 동상
세자(문종) [세종 첫째 아들]
  • 출생-사망1414~1452
  • 업적
    • 30년간 세자로 세종 보필
    • 동국병감, 고려사 등 편찬
 (세종말기 업적)
안평대군 동상
안평대군 [세종 셋째 아들]
  • 출생-사망1418~1453
  • 업적
    • 1430년에 성균관 입학
    • 문한과 관련 돼서 두드러진 실력을 발휘
    • 1441년 수양대군과 함께 치평요람의 편찬 감독
    • 1444년에는 집현전 교리 최항, 부교리 박팽년 등이 번역

신미의 만남

신미의 만남은 신미대사 외 8개 인물동상, 전통담장, 궁궐출입도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광각렌즈로 촬영한 전면 IMAGE
종합안내도 IMAGE
신미대사 동상
신미대사
  • 출생-사망1403~1480
  • 업적
    • 1456년 도감사를 중수하여 
 약사여래불상 3구를 조성, 봉안
    • 1457년 국가의 요청으로 해인사
의 대장경을 인출할 때 이를 감독
    • 1461년 법화경, 반야심경 등 불경 언해
이행 동상
이행 [외조부]
  • 출생-사망1352~1432
  • 업적
    • 예문관대제학, 신미에게 학문을 가르침
    • 정2품 관직
김훈 동상
김훈 [신미대사 부친]
  • 출생-사망1381~1437
  • 업적
    • 태종으로부터 문행을 인정
    • 세자 좌시학
    • 옥구진 병마사
정경부인 동상
정경부인 여흥 이씨 [신미대사 모친]
  • 출생-사망미상
  • 업적
    • 당대 성리학에 있어 최고의 학문능력을 가졌던 이행의 딸
김수온 동상
김수온 [신미대사 동생]
  • 출생-사망1410~1481
  • 업적
    • 조선 초기 문신이자 학자
    • 집현전 학사
    • 신미대사와 더불어 불경 언해 
 등 참여
    • 석보상절 편찬의 주역
    • 정희왕후와 인연이 깊음
    • 불경 한글번역 100여권
함허당  동상
함허당 [신미대사 스승]
  • 출생-사망1376~1433
  • 업적
    • 조선 초기 승려​
    • 1396년(태조5년)관악산 의상암으로 출가​
    • 회암사에서 무학왕사에게 법요를 배워 수도에 정진​
    • 공덕산 대승사, 천마산 관음굴 등에서 학인들 지도​
    • 자모산 연봉사의 함허당에서 3년간 수도​
    • 나옹왕사▶무학대사▶함허로 이어지는 법파​
    • 성녕대군(태종의 4남)의 능침사찰 대자암 주지​
선사 학열 동상
선사 학열 [신미대사 제자]
  • 출생-사망미상
  • 업적
    • 세조와의 연결고리
    • 세조 때 여러 고승과 간경도감에서 
불경을 훈민정음으로 번역
    • 세조의 명으로 오대산 상원사의 
중창불사를 감독
선사 학조 동상
선사 학조 [신미대사 제자]
  • 출생-사망미상
  • 업적
    • 세조~중종 때 활약한 승려이자 국사
    • 월인석보, 간경도감, 금강경삼가해 번역
    • 훈민정음 해례본 간송본을 신미대사와 판본을 만들어 인쇄
수미 동상
수미 [동료승]
  • 출생-사망미상
  • 업적
    • 조선 세조 때 승려
    • 13세 월출산 도갑사로 출가
    • 속리산 법주사에서 신미를 만나 함께 대장경을 읽고 율을 익힘
    • 불경언해기구인 간경도감에서 불경을 번역함
    • 세조는 묘각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왕사로 책봉
    • 신미대사의 평생 도반

정이품송 공원​

정이품송 후계목 경사로, 정이품송 조형물, 어가행렬 조형물, 포토존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이품송 후계목은 1980년 정이품송 솔방울의 씨를 받아 싹을 틔워 기른 후계나무 입니다.

광각렌즈로 촬영한 전면 IMAGE
종합안내도 IMAGE
종합안내도 IMAGE
종합안내도 IMAGE

주변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