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
오장환문학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시인 중의 하나로 인정받았던 오장환 시인의 문학과 삶을 기리고 문학적 성과를 바르게 자리매김 하고자, 1996년부터 오장환문학제를 실시해 오고 있습니다.
9655 회인면 -
생생문화재
보은전통문화보존회에서는 문화재청 주관으로 2021년 생생문화재체험 [정이품송으로 마실가자!]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6897 보은읍 -
금적산
보은의 三山중의 하나! 정상에서 조망을 즐기며 쉬어가세요! 속리산, 구병산, 금적산은 보은군의 삼산이라고 하며, 금적산은 구병산과 속리산의 아들이라고 불릴 만큼 명산입니다.
3081 삼승면 -
청법대
병풍같은 다섯 봉우리 청법대는 다섯개의 봉우리가 부처가 앉아 있는 듯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1172 보은읍 -
항건산
유독 우뚝하게 선 모습 항건산은 산이 가파른 경사를 이루고 있고 산 정상에서는 밑으로 골을 이루는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
2445 보은읍 -
상학봉
아기자기한 바위산 산 전체가 아기자기한 바위산이여서 기암 전시장을 방불케하며 이른 봄에 더욱 돋보이는 산이므로 정상 부근 암봉에 상급의 학들이 많이 모여 있습니다.
1015 보은읍 -
솔향공원 식물원
보은군 최초의 식물원 솔향공원 식물원은 2014년 3월 달에 개장한 보은군 최초의 식물원으로 다양한 식물이 식재되어 있습니다.
1505 속리산면 -
서원계곡
산수화를 방불케 하며 여름 피서지로 각광받는 서원계곡은 아름다운 산수와 어울려 한 폭의 산수화를 방불케 합니다.
5185 속리산면 -
보은 속리 정이품송
나무가 벼슬품계를 가지고 있다 속리산의 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600~800년이 된 천연기념물로 보은 속리 정이품송이라는 고유의 추억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4680 속리산면 -
조각공원
문화관광 서비스 안락한 휴식공간 국립공원 속리산 내 조각공원은 속리산을 찾는 탐방객에게 볼거리 제공과 문화관광 서비스 및 안락한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조성되었습니다.
1143 속리산면 -
국립속리산말티재자연휴양림
역사와 문화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자연휴양림 국립속리산말티재자연휴양림은 국립공원 속리산의 수려한 경관과 휴양림 입구에 위치한 박석 저수지가 함께 어우러져 한 폭의 산수화를 연상케 합니다.
5319 장안면 -
황톳길 체험
산행과 황토의 효관 황톳길은 속리산 잔디공원에서 법주사 가는 길에 있는 것으로 맨발로 걸으면 지압효과가 뛰어나 노화방지, 만성피로 등 각종 성인병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1335 속리산면 -
관광기념촬영장
볼거리와 추억을 드립니다 조선시대 임금님 및 왕비체험을 무료로 할수 있는 곳으로 국내외 관광객에게 볼거리와 추억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364 속리산면 -
연꽃단지
아이들을 위한 교육 장소 및 가족단위 피크닉 장소로 적합하다.
4992 속리산면 -
금화서원
1917년 다시 지방 유림들의 주선으로 복건 1917년 다시 지방 유림들의 주선으로 복건하여 5현을 봉안하여 매년 음력 9월 초 정일에 년 1회 제향을 봉행하고 있으며 제품(祭品)은 2변(籩) 2두(豆)이고, 건물은 전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의 사우와 강당 그리고 5칸의 관리사가 있습니다.
1374 삼승면 -
순조대왕태실
조선시대 제23대 순조 임금 태실(胎室)이 있는 곳! 조선시대 제23대 순조임금의 태실(胎室)이 있는 곳입니다.
1348 속리산면 -
회인향교
1611년(광해군3년)에 재건 공자를 주향으로 4성, 10철, 송조4현과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를 봉안하였습니다.
1707 회인면 -
보은향교
현유의 위패를 보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 1981년 12월 26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95호로 세종 때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세운 관학기관입니다.
1069 보은읍 -
하늘빛식물원
하늘빛 식물원은 충북 보은에 위치한 식물원이다. 야생화와 다육식물이 즐비한 이곳은 가벼운 산책을 즐기기 좋은 장소이다.
1677 보은읍 -
호점산성
호점산을 중심으로 높은 산봉우리 5개 및 그 사이의 계곡을 둘러싼 석성
1076 회인면 -
오장환문학관
서정주, 이용악과 함께 시단의 3천재로 불린다. 문화예술의 활성화는 물론 정서 함양으로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문학의 고장임을 널리 알리고 문화적인 지역환경을 가꾸어 나가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1254 회인면 -
조중봉 후율사
조중봉이 이율곡의 후진이라하여 후율사라 일걷게 되었습니다. 이 건물은 중봉 조헌이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으로 금산에서 700의사와 함께 순절한 것을 기리고 그의 충령을 위안하기 위하여 건립한 사당입니다.
1106 수한면 -
향토민속 자료전시관
향토민속 자료전시관 1955년에 개관한 것으로 일제시대의 보은지역 의병들의 재판판결문, 민속생활자료, 전통음식 등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1093 보은읍 -
풍림정사
성리학을 연구하며 제자들을 양성하던 곳입니다. 성리학자인 호산 박문호 선생이 성리학을 연구하고 책을 쓰며 후진을 양성키 위해 고종 년(1872)에 세운 건물입니다.
1122 회인면 -
상현서원
소수서원에 이어 두번째로 1610년에 사액된 서원! 조선왕조때 임금이 이름을 지어 주고 현판을 써내려 보낸 서원입니다.
1339 장안면 -
문화예술회관
보은군민이 풍부한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는곳! 보은 문화예술회관은 보은군의 각종행사 전시회, 공연등이 이루어지는 보은문화센터입니다.
1020 보은읍 -
김수온 부조묘
영산부원군 김수온 선생의 위패를 모신 사당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지산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문신 김수온의 사당 입니다.
1245 보은읍 -
성운묘소 및 묘갈
대곡 성운(1497~1579)선생의 묘소와 묘갈이 있는 곳! 조선시대 학자인 대곡 성운(1497~1579) 선생의 묘소와 묘갈이 있는 곳입니다.
1174 보은읍 -
고봉정사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누정입니다.
1289 마로면 -
보은대추축제
- 현장 축제 : 2022. 10. 14.(금) ~ 10. 23.(일), 10일간 - 온라인 축제 : 2022. 10. 14.(금) ~ 10. 31.(월), 18일간 2017년도에 이어 3회연속 충북 농특산물 판매활성화 최우수축제로 선정된 보은대추축제는, 임금님께 진상하였던 명품 보은 대추와 보은의 청정한 자연에서 자란 우수한 품질의 농특산물을 축제장에서 직접 맛보고 구매하거나 온라인 주문을 통해 쉽게 받아볼 수 있으며, 현장과 온라인 동시에 축제가 진행되기 때문에 현장의 열기를 온라인에서도 느낄 수 있다. 축제장에는 인기가수 및 각종 문화예술공연, 생대추 및 80여종의 농·특산물 판매, 각종 전시·체험 프로그램 등이 준비되어 있다. 축제장 무대공연을 온라인(유튜브)으로 송출하여 온라인으로 실시간 관람이 가능하며, 「축제홈페이지 특별이벤트」를 통한 경품 당첨의 행운에 도전할 수 있다. 보은 대추 온라인 축제 홈페이지 바로가기
174435 보은읍 -
버들농원
다양한 식물을 구경할 수 있는 관광장소입니다.
936 산외면 -
임한리 솔밭
새벽에 피어오르는 안개가 안개 자욱한 풍경이 멋진 곳
1306 탄부면 -
보은남산 충혼탑
호국정신과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고, 빛나는 위훈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자 건립된 조형물
936 보은읍 -
보은미니어처공원
보은군의 주요 관광명소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미니어처공원
1728 산외면 -
속리산국립공원(천왕봉)
속리산에 올라서서 속리산을 바라보다
3395 속리산면 -
꼬부랑길과 말티고개
‘말티고개’라는 이름은 조선왕 “세조가 피부병으로 요양 차 속리산에 행차할 때, 험준한 이 고개에 다다라 타고 왔던 어연에서 내려 말로 갈아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것이 고개 이름의 유래다. 또 말의 어원은 ‘마루’로서 ‘높다는 뜻’이니 말티고개는 ‘높은 고개’라는 뜻이라는 이름유래도 전해지고 있다.
22647 속리산면 -
속리산국립공원(문장대)
세조길 그리고 문장대-신선대-법주사코스
30318 속리산면 -
백두대간 속리산 관문
백두대간 속리산 관문
2485 속리산면 -
말티재 전망대
1766 속리산면 -
속리산 신화여행 축제
개 최 일 : 2022. 7. 29.(금) ~ 7.31.(일) [3일간] 개최장소 : 속리산 잔디공원, 법주사 일원 주요행사 : 천왕봉 산신제, 영신행차, 비빔밥 파티, 팔상전 탑돌이, 민속경연대회 등 속리산 신화여행축제는 속리산의 역사를 즐기는 전통문화축제로 역사적 기록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과 민속예술경연대회를 통한 전통문화 계승, 발굴 전통문화와 놀이를 결합한 체험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진행되는 축제이다.
566 속리산면 -
삼년산성
신라시대의 석축산성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석축산성으로 평가되며 신라 자비마립간 13년(470) 축성을 시작한지 3년만에 완성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7975 보은읍 -
정이품송과 정부인소나무
귀하디귀한 속리산 소나무, 정이품송과 정부인 소나무
5609 속리산면 -
법주사
'부처님의 법이 머문다'라는 뜻을 가진 속리산 법주사 속리산과 법주사는 아침에 조금 일찍 나서기만 하면 하루코스의 여행으로도 안성맞춤이고 등산을 겸해 1박정도를 한다면 아주 좋은 여행코스입니다.
6324 속리산면 -
세조길
왕들이 거닐던 천년의 숲 세조길
5457 속리산면 -
구병산
가을단풍이 멋들어진 곳! 산 전체가 깨끗하고 조용함. 9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산이라 일명 구봉산이라고도 하며, 기암절벽과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고 있어 가을 산행지로 적격입니다.
3798 마로면 -
오리숲길
천년의 숲 오리숲길
4821 속리산면 -
동학농민 혁명기념공원
역사적 가치를 보고 느낄 수 있는 곳 동학운동의 이념과 역사적 가치를 보고 느낄 수 있는 자연친화형 생태공간이다.
7222 보은읍 -
속리산 산림 레포츠
속리산의 아름다운 풍광을 감상하며 스릴과 짜릿함을 만끽하세요.
17556 속리산면 -
만수계곡
물속까지 맑고 깨끗한 계곡 속리산 천왕봉에서 발원한 삼가천에서 삼가저수지에 이르는 4km의 계곡으로 여름피서지로 유명합니다.
15347 속리산면 -
우당고택
건축기법에 변화를 보이던 시기의 대표적 건물 1919~1921년 사이에 지어진 이 집은 전통적 건축기법에서 벗어나서. 건물의 칸이나 높이 등을 크게 하는 경향으로 변화를 보이던 시기의 대표적 건물이다.
6474 장안면 -
속리산국립공원(묘봉)
산세가 묘하게 생긴 봉! 소백산맥 줄기인 속리산 연봉 북쪽에 접해있는 봉우리로 두류봉, 묘봉이라고 합니다.
18277 산외면 -
보은군 농경문화관
‘농업은 천하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큰 근본이다’
2043 보은읍 -
정이품송공원
“아름다운 역사와 전설이 숨쉬는 현장” 훈민정음 창제의 숨은 공로자인 신미대사의 업적을 조명하고, 한글의 위대한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하여 조성되었습니다.
1544 속리산면